
반려동물을 보내는 사람들은 반려동물의 사망 이후에 반려동물장례식장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장례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반려동물의 유골을 수습하여 예쁜 항아리에 담아 집이나 봉안실에 비치하고 아이가 생각날 때마다 유골함을 찾곤한다. 이런 유골함을 사용할 경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벌레가 생기거나 부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하기도 한다.
반려동물을 보내는 사람들은 반려동물의 사망 이후에 반려동물장례식장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장례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반려동물의 유골을 수습하여 예쁜 항아리에 담아 집이나 봉안실에 비치하고 아이가 생각날 때마다 유골함을 찾곤한다. 이런 유골함을 사용할 경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벌레가 생기거나 부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하기도 한다.
사람은 대부분 혼자서 살기 보다는 누군가와 함께 살기를 원한다. 어려서는 부모, 형제와 함께, 장성해서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하고 가정을 이루어 가족과 함께 살아간다. 이러한 가족중에 반려동물이 이제는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언젠가 부터 반려동물이 가족의 일원으로 자리를 잡았는지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가족의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사실이다. 반려동물의 뜻은 인생의 반려자 처럼 평생을 함께 살아가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이전의 애완동물과는 비교되는 말이다. 단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갖고 노는 장난감 처럼 취급되었던 애완동물에서 인생을 함께 살아가는 삶의 파트너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의 대중화는 2000년대 초반부터 활성화 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당시 반려동물을 키우기 시작했다면 지금은 아이들이 20살 정도 되었다고 본다. 반려동물의 평균 수명이 15년 정도라고 할 때 이미 많은 반려동물들이 노령화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언제까지나 우리와 함께 할 줄 알았던 반려동물과의 이별을 구체적으로 생각할 시기가 되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빈집증후군 empty nest syndrome ?
빈집증후군은 자녀가 학업이나, 결혼 등으로 부모의 곁을 떠나 살아갈 때 부모가 자식이 거주하던 빈 방을 보고 느끼는 허전한 마음 등을 일컽는 용어 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 등 서구사회에서는 자녀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독립하며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많은 부모가 빈집증후군을 겪는다고 합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자녀가 독립하여 살아가려는 비율도 낮고 집값이나 방을 얻을 비용도 부담스러울 때가 많기 때문에 자녀들이 쉽게 독립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리고 자녀가 성인이 되어도 군대, 취직, 결혼 등의 이유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미국이나 선진국 등의 부모가 겪고있는 빈집증후군을 겪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살아가려는 미혼족이나 혼자 살아가려는 1인가구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는 자녀들이 젊어서 독립하려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에따라 빈집증후군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