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너필렌 knuffelen

쿠너필렌 knuffelen

쿠너필렌 knuffelen은 10년전 네델란드에서 나온 치유 프로그램입니다

목장과 들판에서 뛰어노는 소와의 포옹 등을 통해 불안하고 외로운 마음의 안정을

도모하는 치유 프로그램입니다

미국의 경우 쿠너펠렌은 1회당 8만원의 비용을 받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고합니다

또한 네델란드나 프랑스 등 1천개 이상의 농가에서도 쿠너필렌을 시행중이라고 합니다

동물 체험 농장에서 일하다보니 때로는 일반적인 아이들과는 다른 아이들도 방문하기도

합니다

송아지나 당나귀 미니말 염소 양 등을 만지고 안아보려고하는 아이들을 종종 만나기도 합니다

이런 아이들의 심리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아이들의 마음이 불안하고 외로움을 느끼기

때문에 동물들을 끌어안기를 원하는지도 모르겠구나하는 생각을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카루소에서도 이러한 쿠너필렌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실행하려고 계획중입니다

펫로스 증후군 자가진단 7가지 질문

펫로스 통합지원기구, 카루소의 모델, 귀염둥이 바티

펫로스 증후군 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자가진단 질문을 7가지 드립니다

잘 생각해 보시고 마음으로 대답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떠나가버린 아이가 너무 생각나서 잠을 잘 수가 없고 아이를 따라가고 싶다는 생각이 드나요 ?
  2. 아이가 사망한 것이 모두 나 때문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고 내 자신이 미운가요 ?
  3. 아이를 잊을수가 없어 나도 모르게 눈물이 계속 흐르고 친구나 가족도 만나기 싫은가요 ?
  4. 아이가 너무 보고싶고 생각이나서 업무에 집중할 수 없고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있나요 ?
  5. 아이가 갖고 놀던 용품들을 볼 때마다 아이가 내게로 달려오는 환각이 생기나요 ?
  6. 떠나간 아이가 그리워 잠시만이라도 아이를 안아볼수만 있다면 내 시간과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되나요 ?
  7. 나도 모르게 아이와 같이 갔던 장소에 내가 가있는 나 자신을 보고 놀란적이 있나요 ?
아기동물 체험장 나눔농장에서 사랑스런 강아지, 누렁이와 함께

위의 질문에 [예]라고 답변하신 문항수가 많을 수록 펫로스 증후군에 많이 노출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한 이러한 마음의 고통을 누군가에게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다면 그러한

마음의 고통을 조금은 더어낼 수 있을텐데 하는 생각을 갖고 계시다면 카루소의 상담을 노크하세요

펫로스 증후군 이메일 petloss@caluso.org 무료상담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흰눈이 아기 강아지는 아기동물 체험장 나눔농장에서 만났어요

펫로스 증후군 방지위한 자가진단 7가지 질문

  1. 혹시 반려동물 키우시나요 ?
  2. 그럼 나와 함께 살고있는 반려동물의 나이는 알고 계신가요 ?
  3. 반려동물의 평균 수명이 약 15년 이라는 사실도 알고 계신가요 ?
  4. 반려동물이 어느날 갑자기 내 곁을 떠난다고 생각해 보신적이 있나요 ?
  5. 사랑하는 아이와의 사진이나 여행 등을 통해 추억을 많이 쌓아놓았나요 ?
  6. 반려동물과 작별할 마음의 준비는 하고 계신가요 ?
  7. 사랑했던 아이가 어느날 갑자기 나를 떠나갔을 때 아이를 떠나보내는 장례방법은 생각해 놓았나요 ?

이와같은 질문에 [예]라고 답변하셨다면 사랑하는 아이와의 이별을 위한 마음의 준비는

어느정도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애니멀 테라피 Animal Therapy

동물 매개 치료 Animal-assisted therapy

반려동물 강아지를 활용한 애니멀 테라피 animal therapy

위키백과에서는 ‘동물 매개 치료(Animal-assisted therapy)는 동물이나 반려동물을 활용하여 매개해 주는 치료 체계를 말한다. 주로 타인에 의해 물적으로 피해를 야기시켜서 주변 사람에게 상처를 입었거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치료해 주는 좋은 방법으로 봐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따지자면, 펫 테라피(Pet therapy) 또는 애니멀 테라피라고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동물을 통한 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도그 테라피 Dog Therapy, 캣 테라피 Cat Therapy 등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통한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카루소 CALUSO ; companion animal loss unity support organization는 유기동물보호센터와 지역 요양원 등을 연계해 애니멀 테라피를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반려동물, 필요없어요

‘요즘 너무 외로워요’

‘반려동물을 한번 키워보세요’

‘필요 없어요 나 살기도 바쁜데요’

그랬던 지인이 어느 날 심각한 표정으로 내게 와서 말했다.

‘아이가 아파서 응급실에 갔다가 입원 시키라 해서 입원을 시켰어요’

아이들이 모두 장성해서 집에는 부부 외에는 아무도 없는 집인데 이해가 가질 않았다

‘손주를 데려오셨나요?’

‘그게 아니라 강아지가 많이 아파서요’

나는 할 말을 잃었다

필요 없다고 말할 때는 언제고 아이가 아파서 입원을 시켰다니

‘많이 아픈가 봐요’

‘입원 비하고 수술비까지 몇백만 원은 나올 것 같아요’

‘걱정 많이 되시겠어요’

집으로 오는 길에 오늘의 상황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았다

외로워하길래 반려동물을 키워보라고 권유할 때는 고개를 가로저었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반려동물이 아프다고 응급실로 데려가고 입원시키고 수술시킬 정도로 아이를

사랑하는 모습을 보았다

외롭기 때문에 함께할 누군가를 찾고있었던 것이다

‘왜 사람은 반려동물을 키울까?’

사람은 외로움의 동물이기 때문이 아닐까

혼자는 외로워 둘이기를 바란다

그래서 친구를 사귄다

결혼도 한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친구도 사귄다

혼자는 외로워 누군가와 언제나 연결되어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려동물을 키운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500만 명을 넘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각자의 안경 너머로 우리를 판단한다

하지만 동물들은 우리를 어떤 조건이나 스펙 등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냥 좋아하고 따르고 교감을 나눈다

그래서 우리는 반려동물을 사랑한다

가족보다 친구보다 나를 더 이해해 줄 것만 같기 때문이다

내가 외로울 때 내 곁에 와서 맑은 눈동자로 나를 조용히 지켜봐 주는 그런 존재

외로움을 달래주고 나를 위로해주는 존재

반려동물이라는 존재는 내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 것일까?

펫로스 증후군 극복 커뮤니티와 염순이

단순한 장난감인가 아니면 평생을 함께할 반려동물인가 ?

이미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의미가 바뀌었지만 

아직도 애완동물에 머무르고있는 사람들이 많다

외로움의 시대를 살아가고있는 우리다

1인가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도 이유중 하나다

이혼 등으로 혼자가된 돌싱족과 부부가 함께 살다가 지병 등으로 혼자가된 경우도 있다

어떤 이유에서건 혼자될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로움을 느낀다

우리의 외로움을 달래주고 우리 곁에서 우리가 힘들고 어려울 때 우리 곁에서

우리를 위로해줄 반려동물의 소중함을 기억하자

펫로스의 또다른 이름, 유기견.유기묘

반려동물 상실, 펫로스, 잃어버린 반려동물, 강아지, 고양이도 의미

펫로스는 사랑했던 강아지, 고양이 등이 어느날 갑자기 병이나 사고로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펫로스로 떠나간 아이에게 잘해주지 못한 것에 대한 죄책감 등의 마음의 고통을 펫로스 증후군이라고 한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반려주들은 사랑했던 아이가 무지개다리를 건너가는 반려동물 상실 뿐만 아니라

가족같이 함께했던 아이를 잃어 버린 후 겪게되는 반려동물과의 아픈 이별 또한 펫로스라고 해야할 것이다.

그래서 반려동물과의 헤어짐을 사별과 이별로 구분해야 겠지만 그 반려주들의 마음의 고통은 어느것하나 덜한

것이 없이 모두 괴롭고 아프기만하다.

유기견 이쁜이

굳이 나누어 구별해 보자면 아이가 죽음으로 이 세상을 떠나 무지개다리를 건너간 후에 겪는 사별의 아픔은

어느정도의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점차 잊혀지기도 하겠지만 반려동물과의 이별은 잃어버린 아이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수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더라도 사별보다 잊혀지기가 더욱 힘들고 어렵다고 볼 수 있다.

펫로스의 또다른 이름이 유기견이나 유기묘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기견이나 유기묘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의 고통은 이루 표현하기가 힘들고 어려울 만큼 크고 깊다.

카루소는 말로는 표현하기가 힘든 그들의 마음의 상처를 모듬어 주고 함께 공감하며 함께 아픔을 나누는 그런

커뮤니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계획을 진행중에 있다.

유기견 누렁이

또한 유기견, 유기묘의 발생에 따른 반려주들에 대한 체계적인 케어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라 생각한다.

방치되면 반려동물의 사별에 따른 죄책감 못지않게 잃어버린 아이를 그리워하면 밤새워 고통받는 사람들의

아픔도 심리상담이나 이메일, 전화상담 등의 관리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카루소는 지금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때문에 진행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이러한 분들을 위한 오프라인 모임도

함께 구상중에 있다.

펫로스 인구 증가 원인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펫로스의 고통을 받고있는 반려주들은

왜 늘어나는가하는 의문을 던져 봅니다.

이유는 우리 모든 사람들은 태어나면서 부터 외로움을 안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

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아기 때는 엄마, 아빠를 찾고, 학생 때는 친구를 찾고, 청년 때는 이성을 찾고,

그렇게 누군가와 계속 연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를 계속 들여다 보기도 합니다.

잠자는 시간을 빼놓고 우리는 거의 모든 시간을 누군가와 어떻게든

연결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실로 초연결사회라는 말을 실감하면 살고 있습니다

혼자있는 것이 싫어서 늘 내곁에 누군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반려동물을 찾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반려동물의 숫자는 계속 늘어만 갑니다.

늘어만 가는 반려동물의 숫자 만큼이나 무지개다리를 건너가는

반려동물의 숫자 또한 늘어만 갑니다.

그러니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슬픔으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의

숫자 또한 늘어만 가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반려동물의 숫자가 줄어들기 보다는 계속적으로 늘어만

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펫로스 증후군으로 고통받고 있는 반려주들에 대한 문제를

동물복지와 인간복지를 합한 사회복지 차원에서 심도있게 논의

해야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생활비 보다 반려동물이 중요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외로움을 안고 태어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누군가와 계속 연결되어있기를 바라게 됩니다.

그것이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의 SNS이거나 오프라인을 통한 만남이거나를

불문하고 나 혼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 함께하고 있음을 확인받고 싶어합니다.

지난 2020년 6월11일자 동아일보에 <취약계층, 생활비 줄여가며 ‘반려동물’키워>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취약계층에 계신 분들이 자신이 살아가기도 쉽지 않을텐데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해

반려동물의 먹이 등을 구입하는데 생활비를 지출한다는 내용 이었습니다.

기사에는 서울시가 6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조사대상은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매월 약 13만원의 비용을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습니다.

생활비를 줄이거나 돈을 빌려서라도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를 물어보니 20대는 동물을 좋아해서 이고, 70, 80대는 외로워서라고 답변하였습니다.

외로움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중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것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해 자신의 생활을 희생하면서 까지 키우는 이유는 그들이

‘반려동물’을 키움으로써 책임감이 증가하고 외로움이 감소하고, 생활의 활기를 되찾고,

긍정적 사고를 가져오고, 스트레스가 감소되며 건강과 자신감을 얻게되고, 운동량이 증가하는

등의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외로움을 달래며 인생을 함께 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지만 정작 반려동물의 수명이 평균 약 15년 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살 때가 많은 것

또한 사실이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사랑했던 아이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될 때 당황하게 되고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사회생활이 어렵다고 호소하시는 분들도 있고 아이를 따라가고 싶다는 극한

생각까지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펫로스 증후군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에게나 찾아오기 때문에 우리는 사전에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마음의 고통이 너무 큰 경우에는 주변의 비슷한 경험을 가지신 분들의 도움을 받기를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펫로스통합지원기구 (카루소 CALUSO)의 이메일 무료상담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Pet Urns 반려동물 유골함

Photo by Maria Von Losch on Pexels.com

반려동물을 보내는 사람들은 반려동물의 사망 이후에 반려동물장례식장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장례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반려동물의 유골을 수습하여 예쁜 항아리에 담아 집이나 봉안실에 비치하고 아이가 생각날 때마다 유골함을 찾곤한다. 이런 유골함을 사용할 경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벌레가 생기거나 부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하기도 한다.

Pet 반려동물

사람은 대부분 혼자서 살기 보다는 누군가와 함께 살기를 원한다. 어려서는 부모, 형제와 함께, 장성해서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하고 가정을 이루어 가족과 함께 살아간다. 이러한 가족중에 반려동물이 이제는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언젠가 부터 반려동물이 가족의 일원으로 자리를 잡았는지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가족의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사실이다. 반려동물의 뜻은 인생의 반려자 처럼 평생을 함께 살아가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이전의 애완동물과는 비교되는 말이다. 단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갖고 노는 장난감 처럼 취급되었던 애완동물에서 인생을 함께 살아가는 삶의 파트너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의 대중화는 2000년대 초반부터 활성화 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당시 반려동물을 키우기 시작했다면 지금은 아이들이 20살 정도 되었다고 본다. 반려동물의 평균 수명이 15년 정도라고 할 때 이미 많은 반려동물들이 노령화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언제까지나 우리와 함께 할 줄 알았던 반려동물과의 이별을 구체적으로 생각할 시기가 되었다는 뜻이기도 하다.